이동 삭제 역사 ACL 이승빈/방송 기록/2022년 (r43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3월 == '''이승빈 한국 복귀''' '''최대 히트작 <디스코드 청문회>''' 이승빈이 건강 상의 문제로 인해 한국에 복귀한 이후 제대로 된 방송을 하기 시작했다. 3~4월 동안 휴방을 한 날이 단 하루에 불과할 정도로 방송을 열심히 해 왔다. 이 때 또 하나의 새로운 정치예능 컨텐츠가 성공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승빈국이라는 가상의 국가에 트수들을 장관직으로 임명해 서로 검증하는 컨셉의 컨텐츠인 [[디스코드 청문회]]이다. 이승빈이 꾸준히 그간 설파해온 "정치밈 방송을 넘어 정치예능 방송으로"라는 방송 슬로건이 처음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컨텐츠였고, 정치밈 도네이션 없이는 타방에서 불가능했거나 불편하게 느껴졌을법한 정치 드립들을 풍자 개그로 승화시킨 최초의 컨텐츠가 될 수 있었다. 너무 높은 인기 덕분에 약 한달 뒤 시즌2가 진행되었을 정도로, 현재까지 이승빈이 개발한 컨텐츠 중 아이디어 측면에서만 바라봤을 때 최고로 뽑힐 정도로 정말 잘 만든 컨텐츠로 평가 받는다. 한편, 이 시기부터 이승빈과 릭더는 확실한 시청자 수를 유지하기 시작하였는데, 약 30~50명의 시청자 수를 유지하기 시작했었다. 이는 당시 이승빈의 팔로워 수가 300명대에 불과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정도의 시청자 수가 나왔었다는 점을 봤을때 더욱 놀라운 수치이며, 과거 자신에게 검증을 받아오라고 발언한 보물창고의 시청자 수마저 확실하게 꺾거나 최소한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왔다는 점에서 더욱 남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아울러 시청자 출신으로 스트리머에 데뷔한 [[상정입니다]] 역시 이승빈의 영향 아래 이승빈과 같이 성장하게 되며 이승빈은 정치밈 스트리머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존재가 되었다. 여담으로 3월 말, 이승빈이 반다크홈에게 호스팅을 우연히 보내준 것을 계기로 몇달 뒤 두 사람 간의 전설적인 비대면 합방이 성사되었다. 아울러 릭더와 함께 서로의 방송을 바꾸어 진행하는 <체인지> 컨텐츠 역시 호평을 받을 수 있었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19.140.150)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